[구비문학개론] 삼국유사의설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03:04본문
Download : 삼국유사의설화.hwp
부루가 죽은 후에 금와가 왕이 되었다. 하루는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라는 곳에서 유화부인을 만나 그 내력을 알아 낸 후 부인을 방에 가두니 이윽고 알을 하나 낳았다. 유화(柳花)는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의 딸이고, 그에 일광(日光)이 비쳐 잉태하게 된 것…(생략(省略))
[구비문학개론] 삼국유사의설화
고전문학,구비문학,삼국유사,설화,인문사회,레포트
, FileSize : 185K , [구비문학개론] 삼국유사의설화인문사회레포트 , 고전문학 구비문학 삼국유사 설화
Download : 삼국유사의설화.hwp( 62 )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 파일크기 : 185K
다.






해모수(解慕漱) 신화 <기이 제1 북부여, 고구려> 옛날 하느님이 흘승골(訖升骨)이라는 곳에 내려 오시어 도음을 정하고 나라를 북부여라 하고 스스로 해모수라 했다. 그 아들을 낳자 이름을 부루(夫婁)라 하고 동부여로 옮기게 해서 부루는 거기서 아들 금와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