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범의 신학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4:06
본문
Download : 윤성범의 신학사상.hw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윤성범은 이처럼 모든 신학주제에 성의 concept(개념)을 도입하거나 신학의 명제를 성의 본질 속에서 수용하려 하고있다 그러나 이것이 진정한 한국적 신학이라고 하는 점은 매우 회의적이다.(주33
한…(생략(省略))
윤성범의 신학사상
설명






윤성범은 이처럼 모든 신학주제에 성의 개념(槪念)을 도입하거나 신학의 명제를 성의 본질 속에서 수용하려 하고있다. 그러나 이것이 진정한 한국적 신학이라...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윤성범의 신학사상.hwp( 29 )
윤성범은 이처럼 모든 신학주제에 성의 개념을 도입하거나 신학의 명제를 성의 본질 속에서 수용하려 하고있다. 그들의 反應(반응)은 기독교 신학자들 보다 도 오히려 더 무관심한 편이다. 그것은 성에 대한 윤성범의 이해가 잘못됐을 뿐 아니라 해석이나 본질규정 역시 너무 비약적이므로 진리의 진실성을 찾을 수 없고, 전체 사상이 황당무계하고 비논리적이기 때문일것이다 동서양의 많은 사상과 진리에 성을 개입시켜 논술하고 있으며, 때로는 성이 진리로, 때로는 원리로, 때로는 인간성의 숭고미로, 때로의 하나님의 속성으로, 그리고 때로는 하나님 자체로 둔갑하는 것이 그의 한국적 신학의 기본구조, 즉 성신학의 구조라는 것을 分析(분석)해 보면서 신학theory(이론) 정립에 궁한 나머지 말도 안되는 concept(개념) 하나에 그렇게 너무 집착하면서 무엇인가 자기 신학의 특이성을 세우려 했던 윤성범의 신학적 삶이 너무 무의미한 것에 허탈한 감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것이 진정한 한국적 신학이라... , 윤성범의 신학사상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의 성의 신학은 가치적 차원에서 보면 무가치적 비효율성에 불과하며 언어적 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그가 그렇게 역설하듯이 유교나 도교나 불교적으로 그의 성론(誠論)이 인정받고 있는가 하면 전혀 그렇지 않다.ꡓ(주31ꡒ성은 바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종교적 자연성을 배제하는 원동력이 된다고도 말할 수 있다 ꡓ(주32 이 점에서 그는 혼합주의와 종교상대주의를 인정하고 있다
윤성범은 이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삼위일체신론을 조직 발전시키기 전에 이것을 하나로 통일하여서 생각한 것이 그의 `하나님의 말씀론(die Lehre des Wortes Gottes)인 것이다. 이 말씀론에 해당한 것이 바로 `성(誠)` 의 concept(개념)인 것이다. 종교학적으로도 인정되지 않은 것이며 신학적으로는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윤성범은 conclusion(결론)적으로 ꡒ성의 입장에서 보면 기독교나 타 종교나 다 종교인 점에서는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