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영의 `순이삼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09:40
본문
Download : 현기영의 `순이삼촌`.hwp
게다가 대흉년과 콜레라의 창궐로 인해 민심이 흉흉해진 제주에서는 그나마 미곡정책 실패와 관리들의 횡포로 인해 미군정에 대한 민중들의 불만이 포화지점을 향해 치닫고 있었다. 여운형 주도의 건국준비위원회와 그 후신인 인민공화국이 독립국가 수립의 채비를 착착 다져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존재를 싸그리 무시하고 오히려 친일파와 민족분열주의자들을 두둔하고 나선 미군定義(정이) 처사는 해방군이 아닌 점령군으로서의 그들의 본질을 유감없이 발휘했음이다. 비록 이 소설로 인해 작가 자신은 보안사에 끌려가 끔찍한 고문을 당하고 책도 발매 금지되는 고초를 겪었지만, 이 작품이 지닌 문학사적∙역사(歷史)적 의의는 그로 인해 더한층 …(省略)
현기영의 `순이삼촌`
30년 동안 묻혀 있던 4∙3의 진실을 거의 최초로 공론화한 문제적 소설인 1978년에 발표된 현기영(55)씨의 중편 `순이 삼촌`에 대한 평론입니다. 그런 가운데 1947년 3월1일 제주 읍내 관덕정 광장에서 열린 3∙1절 시위군중에게 경찰이 총을 발사해 6명의 사망자를 낸 사건은 미군정 및 경찰과 민중들 사이의 관계를 화해 불능의 차원으로 몰고 감으로써 사실상 4∙3의 도화선 노릇을 했다.설명
Download : 현기영의 `순이삼촌`.hwp( 47 )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30년 동안 묻혀 있던 4∙3의 진실을 거의 최초로 공론화한 문제적 소설인 1978년에 발표된 현기영(55)씨의 중편 `순이 삼촌`에 대한 평론입니다. , 현기영의 `순이삼촌`감상서평레포트 ,
다.
4∙3은 또한 해방과 더불어 삼팔선 이남에 진주한 미군정에 대한 이 땅 민중들의 불만과 저항의 표출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1978년에 발표된 현기영(55)씨의 중편 `순이 삼촌`은 30년 동안 묻혀 있던 4∙3의 진실을 거의 최초로 공론화한 문제적 소설이다.